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41

공매도와 숏스퀴즈 공매도란 한자의 뜻을 풀이한 그대로 없는 것을 파는 행위를 이야기한다. 개인이나 단체가 주식이나 채권 등을 가지고 있지 않은 상태에서 매도하는 행위를 말한다. 매도하게 된 주식이나 채권은 결제일 이전에 구입하여 매입자에게 갚아야 한다. 주가 하락이 예상되는 상황에 이익을 얻기 위한 방법이다. 공매도란 매도증권의 결제를 위해 대차거래 등을 통해 해당 증권을 사전에 차입하였는지 여부에 따라 무차입공매도와 차입공매도로 구분한다. 한국 주식 장에는 원칙적으로 공매도가 허용되지 않는다. 다만, 증권시장의 안정성 및 공정한 가격 형성을 위해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경우 할 수 있는데 한창 코로나가 창궐할 시기에 공매도 전면금지령으로 이어져 나갔으나, 선진지수 편입을 위해 최근 공매도 일부 개방을 한 상황이다. 여기서 .. 2023. 1. 28.
국채와 지방채와 회사채 국채란 국가가 국회의 의결을 얻은 후에 공공이나 재정, 투자나 융자 자금의 조성을 위해 발행하게 되는 것을 채권이라고 한다. 국채는 발행할 시 상환기간과 금리가 정해져 있고 구입하는 대상은 이에 따른 이자를 받을 수 있게 된다. 상환하는 기간이 끝나게 되면 원금인 국채를 발행했을 시 금액이 지불된다. 국채는 다른 채권과 마찬가지로 발행이 된 후에도 시장에서 판매하기 때문에 가격은 항상 변하게 된다. 부채의 가격과는 반대로 국채금리 또는 장기금리라고 부르는 이것은 세계 정서와 국채를 발행하고 있는 국가의 사회적 동향과 경제 상황을 반영하기 때문에 정치적으로는 매우 중요한 요소라고 볼 수 있다. 국채는 곧 부채라는 뜻도 맞기도 하고 그러한 이미지로 보여지는 것이 사실이지만 국채는 곧 주식으로, 금리는 곧 배.. 2023. 1. 26.
유상증자와 신주인수권 뉴스를 보다 보면 흔히들 보는 단어 중 유상증자와 무상증자, 신주인수권이라는 단어를 많이 접하게 된다. 알고 있으면 언젠가는 도움이 될 유상증자와 신주인수권에 대해 알아본다. 유상증자라는 것은 주식회사에서 주식을 추가로 상장하는 행위를 말하는 것이다. 그러나 무상증자와는 다르게 자금을 조달하기 위한 목적으로 진행하는 것이 유상증자이다. 유상증자란 기업이 돈이 필요하게 되면 신규로 자기 회사 주식을 발행해서 그 주식을 불특정 다수에게 파는 것이라고 생각하면 된다. 이 유상증자에서는 또 여러 가지 갈래로 나뉘는데 일반 개인에게 팔 것인지 기업에 팔 것인지 등등 대상이 달라질 때 명칭들이 달라진다. 만약 A라는 회사가 있다고 가정하면 그 회사의 자본금이 10억인데 그 이상의 자본금이 필요하게 되면 추가 10억.. 2023. 1. 26.
주식회사의 자본구성 주식회사의 자본은 균등한 비례적인 단위인 주식의 개념으로 분할이 된다. 그 주식이란 명칭은 자본의 구성 부분으로써 금액으로 표시가 되므로 그 단위인 주식도 금액으로 표시가 되게 되는데 이것을 액면가라고 하며 대한민국의 상법은 이러한 액면주식 외 무액면주식도 인정하고 있다. 이것에 반대되는 미국과 일본과 캐나다 등 다른 나라는 액면가가 표시되지 않고 자본에 대한 비율만을 표시하는 무액면주식을 인정하는 모습을 취하고 있다가 그 이유를 찾아보면 회사의 자기자본 조달을 용이하게 하는 제도로서 액면주식의 액면가가 실제 시세를 반영하지 못하는데도 불구하고 이를 유지하는 것은 회사의 재정 상태를 오해하게 되는 이슈가 될 수 있고 또한 액면 미달발행이 금지가 되어있기 때문에 회사의 사업이 부진할 경우에는 증자의 방법이.. 2023. 1. 25.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