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시경제학이란 자원의 배분과 분배를 하며 기업의 행동에 포커스를 맞추는 경제학으로 생각하면 된다.
미시경제이론은 개별 상품의 시장에서 이뤄지는 균형을 주요 관심사로 둔다. 미시경제학은
두 가지 이론으로 나뉜다 첫 번째로 소비자 선택 이론을 들 수 있는데 소비자 이론이란 재화에 대한
소비자의 선호를 바탕으로 소비자의 의사 결정을 분석하게 된다. 소비자는 예산의 한정으로 인해
효율성을 극대화하는 재화의 조합을 선택할 수밖에 없다. 그렇기 때문에 소비자선택이론은 소비자의
선호도가 어디에 중점을 두고 있는지 예산 제약을 바탕으로 어떤 곳에 소비하는지 그 수요를 도출해내는
것에 중점을 두고 있다. 그다음 생산자 이론이 있다. 생산자 이론이란, 기업의 생산 활동에 관한
주제를 다루게 된다. 생산이란 생산요소를 투입하여 생산해낸 재화와 서비스로 탈바꿈시키는
과정을 말하게 된다. 이윤을 극대화해야 하는 생산자 혹은 기업의 목표를 이루기 위해서 기업이나
생산자가 생산적인 요소의 조합을 어떻게 효율적으로 하여 이윤을 극대화할지에 대한 것을 다루는 것으로 보면 된다.
미시경제학에서는 수요와 공급에 중점을 두고 있는데, 가격이 결정되는 원리를 밝혀내는 데 초점을
두게 된다. 여기서 시장과 수요와 공급이 시장에서 균형을 이루게 된다. 시장은 어떤 상품을 사고팔지
선택하고 그 상품을 사고팔기 위해 서로 만나는 행위 자체(개인과 기업 또는 생산자)를 뜻하며
팔 사람의 가격과 사는 사람의 가격이 충족되면 가격 형성이 되고 그 가격을 형성하는 시장기구 또는
여기서 가격을 통해 매개체 역할을 한다고 해서 가격 기구라고 하게 된다. 가격은 배포와 배분으로
나눈다 가격이란 게 존재하지 않는 자면 소비자는 그 해당 재화를 무한정으로 가지고 가고 싶어 할 것이다.

이때 가격이란 것은 과도하게 가져가려고 하는 소비자의 행동을 통제하게 되는 매개체로써
배급이라는 기능을 가지게 된다. 상품마다 소비가 되는 것이 서로 다르므로 어떤 것은 무조건
부족할 수밖에 없다. 그러므로 가격이란 것은 신호의 역할을 하게 되는데 가격이 높다는 것은
더 많은 상품을 생산하라는 신호로 작용하는 배분 기능을 맡게 된다. 애덤 스미스가 말하는 보이지
않는 손은 이 기능을 뜻하는 것으로 보면 된다. 수요란 건 많은 경제적이지 않은 요인이 포함될 수
있지만 경제학에서는 이러한 요인들을 제외하고 가격만을 고려하며 대상에 포함하는데 실제로
가격 면과 수요적인 관계는 빈번하게 관찰되는 관계이므로 수요의 법칙이라고 한다. 상품의
하나하나 가격들뿐만 아니라 여러 가지 상품의 가격은 서로 영향을 주게 된다 그 한 상품의 가격이
상승하게 되면 그 상품에 필요한 물품의 수요가 감소하는 등의 경우를 예로 들게 된다. 그리고
어떤 상품의 수요는 소비자들의 소 즙 수준과 소비자의 수 등의 영향을 받기도 하는 것이다.
시장수요함수에는 기호도 포함이 되게 되는데 이렇게 되면 6차원의 그래프를 그려야 시장수요함수를
도형화할 수 있다는 것이다. 하지만 실제로 2차원의 그림으로 그릴 수 있으므로 가격만이
변화한다고 하고 다른 조건들이 변하지 않는다면 이라고 가정한다면 이를 도식화하면 오른쪽의
값과 같은 것으로 본다고 그렇게 되면 다른 여러 변수는 어떻게 적용을 하는 것일까? 변하지 않는다고
가정을 했던 소득수준이 올라갔다고 하게 되면 아무리 가격이 올라가도 수요가 증가하게 될 것이다.
이것은 수요곡선의 이동이라고 말하며 수요량의 증가가 아닌 수요의 증가가 일어난 상황이다.
다른 것도 아닌 소비자들 소득의 증가로 인해 말이다. 이 수요곡선은 기울기를 가지게 되는데
수요의 가격탄력성에 따라 기울기가 달라지는 것이다. 공급의 경우에는 탄력성이 고려의 대상이
되는 것이다. 그렇지만 공급의 가격 탄력성은 가격만이 주요 대상이 된다. 가격이 높은 상황에
있는 것이라면 다른 요인이 없게 되더라도 공급자는 높은 가격에서 오게 되는 이익을 얻기 위해
공급을 당연하게도 늘리게 되므로 가격은 자연스럽게 내려가게 되는 것이다. 반면 너무 낮은
가격에서는 소비자들이 낮은 가격을 인지하고 있고 해당 상품을 더 소비하려고 하면서 초과수요가
발생하고 가격이 오르게 되는 것이다. 앞서 말한 두 가지의 과정을 거쳐서 가격은 균형을 찾게 되는데
이것을 균형가격이라고 부른다. 그래프를 통해서 수요 그래프와 공급 그래프가 만나는 검이 균형
가격과 균형거래량이다. 이렇게 가격을 결정하는 것이 무엇인지에 대해서 가격이론 또는 가치
이론의 주된 관심사이기도 하다. 고전파의 경우 공급적인 역할을 중식하고 신고 전파하기에서는
수요의 역할을 중요시했다. 그러나 앨프레드 마셜이라고 하는 이 사람은 수요와 공급을 가위의
양날에 비교하며 어느 하나 중요하지 않은 것이 없다고 주장했다. 변하지 않는 것으로 가정하는
다른 요인들에 변화가 생기게 된다면 수요와 공급이 변화하게 되는 것이다. 수요의 증대는 균형
가격과 균형거래량을 증가시키게 되며 공급의 증가는 균형가격의 하방과 균형거래량의 증가를
유발하게 된다. 이를 그래프로 표시를 하게 되면 위와 같다. 예를 들어서 균형을 벗어나고 이탈하게
된다면 원래의 균형을 가지던 모습으로 얼마나 돌아오는지에 따라서 균형의 안정성을 평가하게 된다.
시장에서 기업의 숫자와 진입하는 장벽이 있는 것과 재화의 동질성에 따라 시장의 구조를 분류하게 된다.
재화가 동질적이며 시장에서 기업이 다수이기 때문에 기업이 시장의 가격을 먼저 수용하게 되면서
진입장벽이 존재하지 않게 되는 시장의 모습을 완전경쟁시장이라고 부르게 된다. 후생경제학의
기본적인 원리는 정보 비대칭이나 외부효과가 존재하지 않는다고 가정할 때 완전경쟁시장의
균형은 효율적이라는 것을 보여주게 된다.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주식회사의 자본구성 (0) | 2023.01.25 |
---|---|
경제사상사에 대하여 (0) | 2023.01.25 |
경제 지표 (0) | 2023.01.24 |
스태그플레이션 (0) | 2023.01.24 |
디플레이션과 인플레이션 (0) | 2023.01.24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