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가 흔히들 알고 있는 게임이라는 단어에 경제를 접목한다는 게 생소할 것이다. 그렇지만 경제 안에서도 게임이론이라는 것이 존재하는데 그 게임이론이란 상호 의존적이며 이성적인 의사결정에 따른 수학적인 이론을 이야기한다. 게임을 하게 되면 알겠지만 우리는 게임을 하면서 어떻게 하면 남들보다 먼저 앞서나갈지 전략을 짜게 되며 조금 더 효율성을 따져가며 캐릭터를 키우게 된다 이 원리와 비슷한 게임이론은 효용 극대화를 추구하는 행위자들이 일정한 전략을 가지고 최고의 보상을 얻기 위해 행동하는 것을 이야기하며 참가자들이 상호작용하면서 변화해 가는 상황을 이해하는 데 도움을 주며 그 상호작용이 어떻게 되는지 그 상황을 판단하여 더 낫다고 판단되는 방향을 따라가는 것을 말한다. 게임이론과 경제 행동이라는 이 연구는 노이만이 이론적인 대부분을 담당하게 되며 그 경제를 도입하며 분석하는 것은 모르겐슈테른이 담당을 하게 된다. 이 연구는 경제 상황에서 분쟁이 발생했을 때 열어주게 와 이해관계나 완전하지 않은 정보나 합리적인 결정은 우연히 같은 요소의 존재에 대한 분석에서 시작이 되며 실제로 정세는 이론적으로 확립할 수 있는 게임 모델과 비슷한 성질을 지니고 있다 본다. 그 후 이 이론은 많은 학자에 의해 광범위하게 연구되었으며 자연선택에 의한 종의 진화를 포함한 동물에 대입하여 그 행동을 연구하는 것에도 점차 적용해 나갔다. 게임이론은 정말 여러 방향에서 중요한 연구주제로써 인식이 되어갔다. 전통적인 게임이론으로써의 응용은 게임에서의 균형점을 찾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런 아이디어를 바탕으로 많은 균형적인 개념이 개발되었다는 것이다. 이것 중 내시균형이 정말 많은 사례로 적용이 되곤 한다. 이러한 균형 개념은 중복이 되거나 비슷한 점도 분명 존재하지만 적용되는 분야에 따라서 서로 다르게 발전되어갔다. 이런 방법적인 이론은 비판도 있고 특정 균형 개념에만 치중한 건 아닌지 그것에 대한 적정성을 따지고 있으며 전체 균형 개념들이 적정한 게 맞는지 이러한 문제에 대해서 여전히 논쟁과 논의를 이어 나가고 있다. 게임의 유형으로는 협조적인 게임과 비협조적인 게임을 예로 들 수 있는데 여러 참여자가 협동심을 발휘하려 하고자 하는 것에 대해 약속하고 그에 따른 행동을 하게 된다면 이것을 협조적 게임이라고 한다. 그에 반대되는 비협조적 게임에는 이러한 협동심을 볼 수 없다. 그리고 또한 제로섬게임과 논 제로섬이 있다. 두 사람이 얻는 이익에 대한 합계가 제로가 되기 때문에 이것을 제로섬 게임이라고 부르게 된다. 그것에 대한 이유는 어떠한 사람이 하나를 쟁취하게 되면 그 누군가는 필연적으로 하나를 잃어야 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개념은 게임을 하다 보면 정말 흔하게 볼 수 있는 개념이다. 이것에 대해 예로 들어보자면 가위바위보 게임이 있을 것이다. 게임을 하면 분명히 승자와 패자가 나올 수밖에 없는 이러한 게임을 제로섬 게임이라고 부르게 된다. 양쪽의 이익을 다 합치면 제로가 되는 게임인 것이다. 예를 들어서 서로 좋아하는 음식을 골라 그것을 걸고 내기를 하게 된다면 누군가는 좀 더 가져가서 배부르게 먹을 것이고 누군가는 분명 먹어야 할 양보다 더 적게 먹는 이가 있을 것이다. 이것과는 반대로 이익과 손실의 합이 0가 되지 않는 것은 논 제로섬 게임이라고 한다. 또 다른 것으로는 대칭적 게임과 비대칭적 게임을 예로 들 수 있다. 대칭적 게임이라 하는 것은 전략을 짜면서 행하다가 어떠한 전략에 대해 그 보수가 다른 사람의 행동이 아닌 또 다른 전략으로 인해서 결정이 되어버리는 것을 이야기한다. 대칭적 게임에는 참가자의 위치를 바꿨을 때 전략에 대한 보수가 바뀌지 않는 것을 이야기한다. 흔히들 이야기하는 치킨게임이 이것을 이야기하는 것이다. 비대칭적 게임이란 참여하는 이들에게 동일한 전략을 주지 않는 것을 이야기한다. 게임이론에서 연구하는 게임들은 잘 정의된 수학적 개체라고 이야기할 수 있다. 그 이유를 예로 들어보면 하나의 게임은 여러 명의 참가자와 참가자들이 할 수 있는 행동들을 전략이라고 이야기하며 그 전략들을 펼치다 보면 그것으로 인해 받는 보상으로 구성이 된다. 대부분 위에서 이야기한 협조적 게임들은 특성 함수형으로 포함이 되지만 전개 형이나 일반형은 비협조적게임을 이야기할 때 쓰이게 된다. 전개 형이란 순서가 존재하는 게임을 정형화하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이 된다. 이러한 게임들은 하다 보면 거꾸로 된 나무 모양으로 표현을 할 수 있다. 각 참여자는 점 위에 표시된 숫자로 구분하게 된다. 점에서 뻗어 나온 선 들은 점에 있는 참여자가 할 수 있는 모든 행동을 나타내게 된다. 이러한 전개 형태는 충분하지 않은 정보를 가지고 있는 게임이나 동시에 움직이는 게임에서도 적용을 할 수 있다는 점이 특징이다. 이것을 위해서 점선을 서로 다른 점들을 이어가며 게임을 하는 것을 이야기한다. 매 순간에 어떻게 행동할지 판단하는 그런 모습들과 경제와 이어질 수 있다는 점이 참으로 흥미롭다. 경제에 대입해서 봐도 얼마나 경제성이 있는지 잘 전략을 짜야 하며 그 전략을 통해서 결과가 도출되면 큰 수익성을 얼마나 얻는지가 존재하며 제로섬 게임처럼 누군가는 경제력을 얻게 되면 누군가는 잃게 될 것이고 동일한 규칙성을 가지고 있지만 그 안에서도 분명 성공하는 사람이 생기는 것이 정말 노이만이 연구했던 이 이론과 너무나도 부합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게임의 형태와 잘 정의된 수학적인 개념들을 이용해 경제와 어떤 비슷한 점이 있는지 대입하는 게임이론에 관해 토론해 보는 시간을 가져도 좋다.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금리와 채권에 대해 (0) | 2023.02.19 |
---|---|
CPI(소비자물가지수)에 대해 (0) | 2023.02.19 |
과소비를 하게 되면 경제에는 어떤 영향을 미칠까 (0) | 2023.02.13 |
국제수지의 자본 이동과 적정한 외화보유는 어느정도일까 (0) | 2023.02.12 |
국제수지의 뜻과 조정기구 (0) | 2023.02.11 |
댓글